오프라인 현장부터 온라인 서비스까지 살면서 나를 인증해야 하는 순간은 많이 있다. 주민센터나 병원에 가서 주민등록증을 보여주거나 회사 혹은 은행에서 각종 증명서를 제출해야 상황, 그리고 각종 휴대폰 인증 절차와 로그인 과정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앞으로 탈중앙화 신원인증(Decentralized Identifier, DID)라는 기술이 등장하면 이렇게 나를 인증 과정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메일이나 팩스로 따로 서류를 보내지 않아도 되고 휴대폰 인증번호를 기다릴 필요도 없다. 해야 할 일은 오로지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동의’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거기다 DID는 인증 과정을 간소화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 유출에 대한 걱정도 줄여준다. 개념상으로 존재하던 DID는 최근 들어 실제 서비스로 하나둘 나오고 있다. DID는 왜 등장했고 어떤 점 때문에 주목받는 것일까? 정부부터 민간기업까지 DID를 어떻게 도입하는지 알아보고, 실제 사용자는 어떤 변화를 체감하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주요 내용 - 탈중앙화 신원인증(DID)의 구조 - ‘개인정보 보호’와 ‘편의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은 DID - 플라스틱 카드, 종이 서류 필요 없는 디지털 신분증 시대 - DID의 성장 동력, 글로벌 경제와 웹 3.0 - DID 확산 기반은 사용자 및 기업 설득에서 시작
테크라이브러리 광고 및 콘텐츠 제휴 문의
입력하신 이메일로 안내메일을 발송해드립니다.2022 탈레스 클라우드 보안 연구에서는 5개 지역(미국, 캐나다, 유럽, 아시아 태평양, 라틴 아메리카) 17개 국가에 분포한 2,800여 명의 IT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보고서의 아시아 태평양(APAC) 섹션은 APAC ...
Thales 2022.11.14
오늘날 조직들에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필수 과제가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디지털 경제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 수행하는 조직의 포지셔닝 변경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입증된 경로를 제공합니다. 조직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
Thales 2022.11.14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1,2은 유럽 연합(EU)에 거주하는 개인들의 데이터 보호를 강화 및 통합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정입니다. GDPR은 조직들이 준수해야 하는 규정 중 가장 엄격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정으로 향후 전 세계적인 규정으로 확대...
Thales 2018.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