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이 멀티클라우드를 단어 그대로 이해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중 최고만 골라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동시에 이용하는 아키텍처 말이다. 다른 말로 하면 멀티클라우드를 가장 잘 맞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하는 경로로 사용한다.
멀티클라우드가 표준이 되면서 필자는 멀티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설계와 배치에서 기반 클라우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멀티클라우드를 관리하는 기술은 관리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자원 위에 따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 툴이 AI옵스 툴이든 IDAM이나 네트워크 모니터링, 메타데이터 관리 툴이든 상관없다. 멀티클라우드를 배치할 때는 언제나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적용할 수 있고 특정 플랫폼 운영에 국한되지 않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과거의 일반적인 패턴은 멀티클라우드 구성에서도 각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네이티브 툴과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멀티클라우드 배치 환경이 너무 많은 부품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클라우드에 각각의 툴을 사용하는 것은 지나친 복잡성으로 이어지고, 과도한 복잡성을 가진 멀티클라우드는 운영 비용도 커진다.
둘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추상화할 수 있다. 공동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토리지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심지어 보안 시스템까지 볼 수 있으며,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 업체에 맞춰 모든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터페이스를 다룰 필요가 없다. 이런 변화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아직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아주 잘 동작하지는 않는다.
개념은 이렇다. 추상화를 이용해 서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여러 곳을 볼 수 있다면, 각각의 클라우드를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있는 자원의 하나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추상화란 AI옵스 툴을 사용해 클라우드옵스를 추상화하거나 데브섹옵스 툴을 사용해 배치와 보안을 추상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추상화를 데이터 스토리지, 프로세스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등등에 적용하면 멀티클라우드는 한층 더 단순해질 것이며, 그 가치도 커질 것이다.
멀티클라우드에서는 각각의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중점을 두면 안된다. 중요한 것은 이들 클라우드 자원 위에 배치하는 소프트웨어와 툴, 기타 기술로, 이를 요소가 멀티클라우드를 대부분 기업에 실행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준다. 멀티클라우드에서 더 이상 클라우드가 중요하지 않고, 멀티클라우드 솔루션에 적용되는 구성 기술이 중요해질 때, 그것이 바로 새로운 무엇이 될 것이다. editor@itworl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