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 日 식품산업과 농산물 이력추적관리제

Leslie Hand | CIO 2011.04.07

IDC 메뉴팩처링 인사이트 그룹에 근무하는 필자의 한 동료는 3월 11일 일본에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한 직후 3월 기사를 통해 일본에 발생한 이 재앙이 대형 제조업체들의 공급망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전망했다. 필자는 이에 덧붙여 이 재앙이 식품, 특히 해산물, 쌀, 녹색 채소, 그리고 낙농제품의 공급과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규명해 보고자 한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제품들의 일본 내 생산은 중지되었거나, 최소한 둔화되었으며, 내수시장에의 공급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방사능 오염 식품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내수시장과 수출시장 모두에서의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 보장과정이 요구될 것이다.

 

또한 각 지역에 분포된 생산 업체들(특히 식료품 분야의)은 생산, 포장, 배송 과정에서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전략이 시행돼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적 문제- 일본의 보호무역 정책이 약화될 것인가?

마리코 산샨타는 2011년 4월 4일 월 스트리트 저널을 통해 100% 일본 내 생산을 통해 공급되는 우유와 요거트, 그리고 쌀이 현재는 공급 부족 사태에 직면해 있으며 많은 상점 가판대들이 비어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여기에서, 일본이 이러한 제품들에 대한 보호관세를 낮추고 수입 시장을 좀 더 개방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산샨타 또한 도쿄 지역에서 실시된 계획정전의 영향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낙농제품 생산업체인 메이지 홀딩스(Meiji Holdings Co.)의 생산량이 지진 이전에 비해 20~5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계획정전은 모든 생산과정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실제로 요거트의 경우 모든 제품이 변질된 것으로 전해졌다. 계획정전은 그 시간이 줄어들긴 하겠지만, 적어도 여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메이지의 대변인 WSJ는 기업이 직면한 또 다른 문제점에 대하여도 발표했다. 포장 용기용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몇몇 공장이 쓰나미로 인해 파손되었기 때문에, 현재 우유와 요거트의 포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지구적 문제- 방사능의 위협과 공포

일본 지역의 농작물 및 제품들이 쓰나미와 고농도 방사능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일부 공포(특히 해산물과 관련된)는 불필요한 것들로 관측된다. 물론 추가적인 검사는 필요하다.

 

현재 일부 지역의 생산품들은 시장에 공급이 금지된 상태이다. 그러나 2011녀 4월 4일 CNN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해 지리적으로 구분을 지을 것이며 공급 양태 역시 변화될 전망이다.

 

소비자 안전문제로 인해 정부의 방사능 기준치에는 변동이 없을 것이지만, 몇몇 지역에 대한 농작물 판매 제한 조치는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녹색 채소와 우유, 쌀 그리고 물 등에서 정부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능이 검출됐다. 하지만 해산물에서는 방사는 수치가 기준치를 넘지 않고 있다.

 

일본에는 안타까운 일이지만, 이번 사태가 일본 식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실제의 위험이 사라진 후에도, 또한 후쿠시마 원전 주변의 오염지역이 아닌 곳의 식품에 대하여도, 오래도록 지속될 것이다.

 

어떤 이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섭취하는 식품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알지 못하며,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고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그러나 과거 재앙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면, 그들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잠재적인 인식은 새로운 행동 양식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가장 최근의 예를 살펴보자면, 2010년 4월 멕시코의 걸프(Gulf)에서 발생한 BP사의 원유유출이 소비자들의 해산물 구매에 미친 영향 등이 있다.

 

BP 사태가 수산시장에 미친 영향

BP의 원유유출 사고가 발생한 지 거의 1년이 지났지만, 수산시장은 여전히 소비 감소의 문제를 겪고 있다. 업계 전문지인 씨푸드 비즈니스는 시장조사 기관 테크노믹이 실시한 해산물 소비량 변화에 관한 통계를 게재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   72%의 사람들은 유출 사고 이후 해산물 소비 형태에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자신들이 먹는 생선이 어디에서 오는지 모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   23%는 즉시 모든 해산물 구매를 중단했다.

 

-   그들 중 78%는 특히 걸프산 해산물에 거부감을 나타냈다.

 

루이지에나 씨푸드 프로모션과 마케팅 보드도 위와 비슷한 연구를 시행했는데, 여기에서 응답자의 48.3%는 전반적으로 더 적은 양의 해산물을 섭취한다고 답변하였다.

 

지역 해산물에 대한 부정적 여론에 대처하기 위해, 멕시코 걸프의 리프 피시 셰어홀더스 얼라이언스는 포획된 모든 물고기의 아가미에 포획한 어부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태그(tag)를 부착하는 브랜딩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는 식품 이력추적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이를 통해 소비자는 물고기가 어디에서부터 온 것인지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소비자들에게 자신들의 해산물이 적절한 안정성 검사를 거쳤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이 물고기들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포획되었음을 증명한다.

 

이력추적제가 무너진 일본의 식품 산업을 일으켜 세울 수 있을까?

소비자들의 해산물 구매(특히 걸프산 해산물)에 대한 뚜렷한 데이터의 변화는 장차 수 개월, 혹은 수 년간 일본이 겪게 될 위기가 어떠한 것인지 보여주는 예이다.

 

그렇다면 일본이 걸프 와일드와 같은 프로그램을 채택하여 자신들의 이미지를 쇄신하고 그들의 식품 산업을 지켜낼 수 있을까?

 

흥미롭게도 일본의 생산업체들은, 고급 제품의 생산이력 정보를 요구하는 자국 소비자들로 인해 이미 이력추적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왔다. 일본은 이미 다양한 식품에 있어서 원 업 원 백(one up, one back) 이력추적을 엄격히 시행해 왔고, 특히 소고기에 대하여는 전체 이력추적을 의무화 해왔다.

 

이번 사태로 인한 소비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생산자/농장에서 소비자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확대된 원 업 원 백 이력추적이 필요할 것이다. 위험 지역에서 생산, 포장 및 운반되는 해산물과 쌀, 낙농제품, 채소류 등에 확대된 이력추적 시스템을 시행하는 것은 일본에겐 아마 큰 어려움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아직 많은 기업들이 위의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는 보도도 있기는 하다.

 

다른 국가들 또한 위와 같은 브랜딩 노력에 착수 중이다. 태국과 베트남은 FXA, IBM 등의 기업과 지역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태국에서는 태국 농림협동부(MOAC,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operatives)와 체신부(CAT, Communications Authority of Thailand)가, 그리고 베트남에서는 베트남 해산식품수출생산자협회(VASEP, Vietnam Association of Seafood Exporters and Producers)와 기술혁신청(SATI, State Agency for Technological Innovation)이 이에 참여하고 있다다. 참고로, FXA 그룹은 다양한 식품 산업분야의 이력추적 솔루션 대표 공급 기업이다.

 

규제의 영향

일본의 식품위생법은 자국 내 소고기와 기타 식품들에 대한 완전한 이력추적을 요구하지만, 각 단계의 관리자들이 모든 공급자와 소비자 정보를 파악하도록 강제하진 않는다. 그들은 바로 이전 단계와 이후 단계의 이력만을 추적하면 된다.

 

이러한 기준은 EU 식품 기본법 제 18조(Article 18 of the European Union's EC Regulation 178/2002)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일본에서 이와 같은 기록은 의무가 아닌 권유 사항이다. 대신 일본의 제도는 신선식품과 저가공식품의 원산지 표기에 대하여는, 소매 단계뿐 아니라 도매 단계에서도 엄격히 적용된다. 일본 식품위생법에서 원산지 표기는 의무화됐지만, 기록 작성 시스템에서 원산지 확인을 위해 배송 기록이나 영수증을 첨부하는 것은 법적으로 의무화되지 않고 있다.

 

식품 안전 관련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식품 안전 개선 정책은 보다 엄격해지고 있다. 2002년 재정된 생물학 테러법(The Bioterrorism Act of 2002)은 제품 생산업체와 배송업체간의 연속적인 제품 데이터 기록을 의무화했으며, 2010년 재정된 식품안전법(the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of 2010)에서 이를 재확인했다. GS1이 제시한 자발적 가이드라인(guideline)에서는 식품이 농장에서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을 추적 및 확인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전체 이력추적 모범 가이드라인

미국의 최신 이력추적 기준 가이드인 ‘해산식품 이력추적: 미 제공 가이드("Traceability for Seafood: U.S. Implementation Guide")’는 최소한의 권장사항과, 농장, 가공업자, 공급업자, 총판, 소매업자, 그리고 식품 서비스 관리자에 이르는 해산물 공급망의 전 과정을 추적하는 모범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있다.

 

이 가이드는 NFI, GS1 US, 미 해산식품 협회(U.S. seafood industry companies)에 의해 제작됐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해산식품 이력추적 가이드는 해산물 라이프사이클(lifecycle) 추적의 중요성을 자세히 소개한다.

 

보증이 되었건 되지 않았건, 이와 같은 정보를 소비자, 혹은 수요자에 노출시키는 것은 식품 안전성에 대한 공포를 덜어주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또한 공급망에 속한 모든 동반자들에게 지속 가능한 해산식품 포획 및 지리학적/생물학적 위험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기회로도 작용할 것이다. editor@idg.co.kr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