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렬빌드
솔라윈즈, 차세대 ‘병렬 빌드’ 시스템 발표…보안 내재화에 총력
솔라윈즈가 치명적인 피해를 본 공급망 공격을 교훈 삼아 보안을 한층 강화한 새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30일 밝혔다. 2020년, 한 해커 조직이 ‘선버스트(Sunburst)’라 불리는 악성 코드를 솔라윈즈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오리온(Orion)에 심어 큰 타격을 가한 이래로 이 회사는 공급망 공격의 대명사격이 됐다. 선버스트는 오리온을 업데이트한 전 세계의 수많은 정부와 기업 고객에게 유포되어 막대한 피해를 줬다. 솔라윈즈는 이 사태로 뼈아픈 교훈을 얻었다. 그리고 교훈의 결과로 지난 22일(현지 시각) 차세대 빌드 시스템(Next-Generation Build System)을 발표했다.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의 무결성을 강화하는 일련의 기술을 포함한 시스템이다. 업계 최초로 적용한 ‘병렬 빌드(parallel build)’ 프로세스가 특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이 프로세스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여러 개의 안전한 중복 경로를 거쳐 이뤄지면서 무결성 검사를 위한 기반을 구축한다는 설명이다. 451 리서치(451 Research)의 정보 보안 및 네트워킹 연구 책임자 다니엘 케네디는 "빌드 시스템에 컴파일된 바이너리가 해당 바이너리를 생성하는 데 쓰인 소스 코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무결성 검사 절차가 없는 경우, 이러한 새 접근방식은 보안을 크게 강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새로운 시스템이 (예상보다) 비교적 이른 시일 안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완성도가 높으리라고 보장하기는 어렵다. 다만 새로운 위협 발생 시 더 신속하게 대응하는 듯하다. 또한 새 시스템은 설계상 더 높은 투명성을 확보해 소프트웨어 개선, 유지, 개발의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기술 자문 회사 옴디아(Omdia)의 사이버 보안 부문 수석 애널리스트 릭 터너는 "앱데브(AppDev)에 대한 CI/CD 파이프라인 접근 방식은 선형적일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단일 경로에 의존한다.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