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데믹
“인터넷 사용자가 코로나 사망률 낮았다” 시카고대학 연구팀
코로나19 팬데믹이 발발하고 2년이 지나면서 전 세계 수많은 연구팀이 어떤 사람이 코로나19로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은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이와 병력 같은 잘 알려진 위험 요소도 있지만, 나머지는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 위험 요소를 파악하면, 향후의 전염병으로부터 취약 계층을 좀 더 잘 보호하고 환자의 사망도 막을 수 있다. 최근 의학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된 미국 시카고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일부 위험 요소는 더 쉽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높은 코로나19 사망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 가지 위험 요소는 바로 인터넷 액세스의 부족이다. 이 요소는 사회경제적 지위나 교육, 연령, 장애, 주거, 의료보험 범위 등과는 독립적이다. 더 나아가 이런 경향은 인터넷 서비스가 열악한 시골 지역뿐만 아니라 대부분 가정이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한 도시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다시 말해, 도시 거주자라도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거나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높았다. 연구팀은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한 지역 거주자가 1% 증가할 때마다 지역에 따라 인구 10만 명당 2.4명~6명의 사망을 막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이 문제에 관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인터넷 액세스가 제한적인 인구 그룹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흔히 팬데믹 관련 연구에서 고려사항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인터넷 액세스가 어떻게 왜 사망 방지 효과가 있는지, 인터넷 액세스의 가용성이 증가하면 일반적인 건강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미국 내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의 격차가 큰 데도 불구하고 많은 헬스케어 서비스가 온라인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팬데믹으로 일상적인 의료기관 방문이 원격 진료로 바뀌면서 인터넷 액세스가 없는 사람에게는 헬스케어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