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5.26
"그래도 라데온이 좋다" PC 게임용 AMD 라데온 RX 그래픽 카드의 모든 것
Brad Chacos | Australian Reseller News
그래픽 카드라고 다 같은 것이 아니다. AMD와 엔비디아에서는 다양한 그래픽 카드를 선보이고 있다. 홈 시어터용 PC에 기본 4K 비디오를 지원하고, 시각적으로 화려한 비디오 게임을 압도적으로 높은 프레임 속도와 해상도로 실행하는 기능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도 다양하다.
현재 AMD가 출시한 소비자용 라데온 그래픽 카드와 각 모델의 기대 성능을 간단히 알아보자. 사용자 개인의 용도에 맞는 비디오 카드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나오는 라데온 그래픽 카드는 지포스 제품에 비해 훨씬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단, 라데온 RX-500 시리즈는 엔비디아에는 없는 경제적인 가격의 프리싱크(FreeSync) 모니터와 함께 사용하면 꽤 쓸만하다. 깨짐이나 버벅임 없이 아주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editor@itworld.co.kr
라데온 RX 550
라데온 RX 550은 매력적인 엔트리급 그래픽 카드이다. 한 단계 높은 라데온 RX 560에 비해 성능은 절반 수준인데 반해 시작 가격은 불과 20달러 낮은 80달러라는 점은 다소 의아하다.
그러나 용도에 따라서는 장점도 많다. 예를 들면 전원 커넥터가 따로 필요 없기 때문에 이미 조립된 덩치 큰 박스형 PC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성능은 비교적 강력한 편이어서 그래픽을 “높음”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초당 100프레임 이상의 속도로 주요 e 스포츠 게임을 구동할 수 있다. AAA 게임이라면 그래픽을 “낮음”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해상도 1080p로 초당 30프레임 내지 40프레임의 속도를 낼 수 있다. 크기도 아담하고 전력을 연속적으로 소모하거나 온도가 많이 올라가는 일도 없기 때문에 홈 시어터용 PC에 최신 비디오 지원 기능을 추가하는 용도로 이상적인 카드다.
라데온 RX 550의 가격은 아마존에서 최저가 80달러다. 홈 시어터용 PC에 사용하려면 90달러짜리 XFX 모델 같은 자그마한 싱글 슬롯 변형 버전이 나을 수도 있다. 2GB 모델을 사용하도록 하자. 카드 성능이 보통인 점을 감안하면 굳이 더 비싼 4GB 모델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 경쟁 제품은 엔비디아에서 나온 지포스 GT 1030로, 가격은 뉴에그에서 70달러부터 시작한다.
1
라데온 RX 560
라데온 RX 560은 RX 550에 비해 크게 진일보한 제품이다. 가격은 큰 차이가 없다. 구형 RX 460 모델과 같은데 속도가 빨라졌다고 보면 된다. “중간” 그래픽 설정과 해상도 1080p에서 약 60fps의 프레임 속도로 AAA 게임을 실행하는 데 적합하다. 더 화려한 이미지 구현을 위해 “높음” 또는 “매우 높음”으로 설정할 경우 프레임 속도는 콘솔 게임 수준인 30fps 내지 40fps로 떨어진다. RX 460 모델은 이론적으로는 PC 마더보드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했다. 그러나 RX 560 모델은 클럭 수를 늘렸기 때문에 대부분의 모델에서 6핀 전원 커넥터가 따로 필요하다.
라데온 RX 560의 가격은 사파이어 펄스(Sapphire Pulse) 같은 2GB 모델의 경우 100달러부터 시작한다. 4GB 버전은
뉴에그에서 120달러 전후로 구입할 수 있다. 단, “높음” 또는 “매우 높음” 설정에서 최신 AAA 게임을 실행할 예정인 경우에만 선택하는 것이 좋다. 엔비디아에서는 이와 비슷하지만 전력 효율은 훨씬 높은 지포스 GTX 1050이 나와 있다. 가격은
아마존에서 100달러부터 시작한다.
2
라데온 RX 570
라데온 RX 570은 170 달러로 껑충 뛰어 오른 가격에서 알 수 있듯이 RX 560에 비해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 200달러 이하 그래픽 카드 중에서 최고의 제품이다. 대부분의 게임을 그래픽 타협이 거의 없이 해상도 1080p과 60fps라는 준수한 프레임 속도로 즐길 수 있다. 일부 게임의 경우 그래픽 설정을 약간 낮추면 해상도를 1440p까지 끌어올릴 수도 있다. 엄청난 가성비가 아닐 수 없다. 대부분의 모델에는 4GB의 메모리가 들어가 있다. 그러나 8GB 메모리 모델도 언제든지 제작 가능하다.
AMD의 라데온 RX 570은 엔비디아의 140달러짜리 지포스 GTX 1050 Ti를 압도한다. 단, 엔비디아 제품은 라데온처럼 추가 전원 핀이 필요하지 않다. 좀더 가격이 나가는 200달러짜리 3GB GTX 1060과 비교해도 라데온 RX 570은 추가 메모리 덕분에 성능 면에서 밀리지 않는다.
라데온 RX 570의 가격은 높지 않다. 사파이어 RX 670 펄스와 같은 최고의 카드도
뉴에그에서 170달러부터 시작한다. 이론 상으로는 그렇다. 이 글 작성 시점을 기준으로 주요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 라데온 RX 570 카드는 재고가 없는 모델이 많고 그나마 재고가 있는 것들은 가격이 200달러까지 치솟고 있다. 다음에 소개할 라데온 RX 580의 가격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3
라데온 RX 580
라데온 RX 580은 현재 AMD 라인업 중 최강자이다. 지금까지 시판된 주류 그래픽 카드 중 최상의 제품일 수도 있다. 가격은 4GB 모델의 경우
200달러부터 시작한다. 모든 그래픽 옵션을 11로 올린 채로 해상도 1080p 게임을 60fps 이상의 프레임 속도로 문제 없이 실행할 수 있다. 최신 게임에서 그래픽 설정을 “높음”으로 낮추면 해상도를 1440p까지 올릴 수 있다. 심지어 가상 현실 경험도 구동 가능하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성능이 강력하고 다재다능하다. 가격 역시 너무나 합리적인데, 역시 이론적으로는 그렇다는 얘기다. RX 570과 마찬가지로 RX 580은 출시 이후 재고 부족과 가격 폭등 현상을 겪고 있다.
4GB 버전은 가성비의 끝판왕이며 타협 없는 1080p 게임 실행에 더할 나위 없다. 단, 가상 현실이나 1440p에서의 게임을 즐기려면 한 단계 높은 8GB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가격은 재고가 있을 경우에 한해
200달러부터 시작한다. 현재 4GB 모델은 거의 구할 수가 없고 8GB 모델의 시작 가격은 약 250달러로 오른 상태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른 가격 인상은 어쩔 수 없다.
엔비디아의 지포스 카드와 비교하자면, 3GB 지포스 GTX 1060 대신 4GB RX 580을 선택하는 것이 당연하다. 단, 보다 강력한 6GB 지포스 GTX 1060 은 비슷한 가격대의 8GB RX 580보다 낫다. 따라서 PCWorld의 라데온 RX 580 사용기를 참고해서 각각의 장단점을 꼭 확인하도록 한다.
4
보다 높은 곳을 향하여
타협 없는 해상도 1440p의 게임을 즐기고 싶거나 4K모니터를 구입할 예정이라면 엔비디아의 지포스 카드를 선택해야 한다. 현재 나와 있는 것은 GTX 1070 (350달러 이상), GTX 1080 (500달러 이상), GTX 1080 Ti (700달러 이상) 등이다. PC월드의PC 게임용 최상의 그래픽 카드 안내 기사를 통해 비교해 볼 수 있다.
AMD의 퓨리 및 나노 그래픽 카드는 1440p의 해상도를 감당할 수 있는 제품들이지만, 차세대 라데온 베가 그래픽 카드가 출시되기도 전에 대부분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라데온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반길 소식은 마니아층을 위한 베가 출시가 임박했다는 점이다. AMD는 에서 최초의 베가 카드인 개발자 중심의 라데온 베가 프론티어 에디션(Frontier Edition)을 발표했다. 라데온 RX 베가 소비자용 그래픽 카드에 대한 자세한 소식은 5월 하순경 컴퓨텍스(Computex)에서 접할 수 있다.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