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가전업계의 대세는 “친환경”
환경 친화적 기술 판매에 관심 있는 소비자 가전업체에 절호의 시기가 도래했다. 높아지는 에너지요금, 탄소 소비에 대한 대중인식의 향상, 전자 폐기물을 규제하는 새로운 법규, 그리고 미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재생 가능한 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오바마 정부의 최근 계획은 환경에 적절한 제품에 눈길을 돌리고자 하는 업체와 구매자 모두의 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최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CES에 참여한 지속 가능한 행성 전시관(Sustainability Pavilion)에는 수십 개의 회사가 친환경 포장상품, 대안적 전력공급원, 태양광 충전기 그리고 에너지 사용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를 전시하면서 그 규모가 지난해 대비 2배 가까이 됐다. 게다가 많은 주요 업체들이 CES에 차린 부스를 TV와 DVD 플레이어 같은 일반 제품의 소요 와트를 낮추는 것부터 재활용 노력과 재구매 프로그램 개시에 이르기까지 환경에 쏟은 그들의 노력을 널리 알리는데 사용했다.
미국 도시바의 환경정책 담당인 크레이그 허쉬버그는 “소매업체들이 지속 가능한 포장재와 생태 친화적인 제품을 위해 공급업체들을 재촉하기 시작했다”면서, “그것이 구매의 결정 요인이 되길 바란다”고 말한다.
그린피스의 조언
도시바는 환경 친화적 노트북을 생산하고자 CES가 개최된 기간 동안 발표된 그리피스에 의한 “환경”평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 환경단체의 정기보고에서는 생태계에 책임을 지는 관행을 받아들이기 위한 제조사의 노력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통계치에 따르면 모든 기술 관련 업체들의 갈 길은 아직도 멀다. “최고 친환경적”으로 평가 받은 제품인 레노버의 L2440x 컴퓨터 모니터는10점 만점에서 고작 6.9점을 획득했다. 한편 도시바의 포르티지 R600은 5.57점을 받았다.
허쉬버그는 일본에 있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위해 탄소의 회수와 저장 기술에 대한 도시바의 연구개발을 예를 들면서 ”도시바는 어떤 제품이든 환경문제를 고려하고 있다. 비단 PC나 소비자 가전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타 많은 업체가 에너지 스타 등급, 미국 정부의 전력소모 기준을 준수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일한 바 있는 허쉬버그에 따르면 “차세대 TV는 점점 친환경적 양상을 띠고 있다.” 도시바가 CES 부스에서 선보인 “환경”섹션에서는 이 회사의 46인치 평판 46XV5450모델이 전시되었는데 이 제품은 164와트에서 돌아가는 유망한 차세대 모델의 시제품이자, 평균 220와트의 전력을 사용한다.
적을수록 좋다
파나소닉은 새로운 캠코더, 블루레이 DVD 플레이어 그리고 TV(시간 당 평균 150와트인 플라즈마 모델 포함)의 낮아진 전력수요를 선보여 나란히 비교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파나소닉의 환경부서 그룹 관리자 마크 샤프는 “파나소닉은 이번에 처음으로 환경 제품만을 별도로 주력했다”고 소개하면서, “흥미로운 점이 많다. 사람들이 점차 효율성 높은 제품을 추구하고 있다. 아마도 큰 회사들이 이련 측면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까 전망한다”고 밝혔다.
파나소닉은 도시바 그리고 샤프와 손을 잡고 CRT, 노트북 및 기타 전자제품의 적절한 처분, 재구매 및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힘을 쓰고 있다. 현재 미국 20개 주에서 CRT를 적절히 처분해야 한다는 사실에 일부 고무되어 이제는 50개의 모든 주에서 MRM(제조업체의 재활용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소니는 2007년 재수거 재활용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후1,200만 파운드에 이르는 전자폐기물을 수거해오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센터에서는 소니의 모든 전자제품과 건전지를 수거한다. 또 자연 친화적인 건축물 인증 제도인 LEED(에너지와 환경을 생각한 설계에 있어 선구자적 활동) 인증을 획득하고자 친환경 사무실을 건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소니는 자사의 설비시설에서 나오는 배출량을 2010년까지 7% 감소시킨다는 계획이다.
내부도 친환경
ATP의 어스드라이브(EarthDrive 용량2GB에서 8GB로 약 20달러 내지65달러)는 주로 재활용한 생분해성 소재로 조립된다. 플래시 어스카드(Earthcard)는 개발 중에 있다. 또한 ATP는 전력 효율이 뛰어난 솔리드 스테이트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장치를 강조하고 있다.
에너지 사용평가 제품 또한 이목을 끌고 있다. 에너지 사용평가 제품은 기업체와 소비자가 제품을 켜 놓은 채 사용하지 않아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에너지 소모적인 저자제품의 전력낭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P3 인터네셔널(P3 International)의 “킬어와트(Kill a Watt)”는 어떤 전기소켓이든 , 어떤 전자제품이든 종류에 상관 없이 플러그 연결해서 전기의 흐름을 관찰하고 사용량을 평가하여 새는 전기를 확인한다. 에코버튼(Ecobutton)의 에코버튼이라는 제품은 컴퓨터를 일반 휴면상태보다 전력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그린 휴면(green hibernation)” 상태로 둔다. 또한 사용량도 보고한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사람들이 하드드라이브 백업 시스템이 얼마나 전기를 소모하는지를 알고 많이 놀란다”고 강조했다.
그린 플러그(Green Plug)는 전력절감을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 그린 플러그의 수석 펌웨어 엔지니어 마크는 포트 2개의 이동용 충전지인 Innergie mCube90G에 처음 도입된 자사 기술이 유휴 기기를 그린 플러그의 그린토크 프로토콜에 의거해 전력 절감 휴면 상태로 둔다고 설명했다.
전기절약 좋다. 그러나 방해는 싫다.
그럼에도 CES에 참가한 여러 고객들은 전력효율이 있든 없든 지나치게 휴면모드를 유도하는 제품은 원치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환경 친화적인 제품은 그 제품이 또한 편리할 때 더 관심이 간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뱅쿠버에서 건축자재 회사를 운영하는 데이비드 메스자로스는 환경적 측면 외에 다른 속성이 요구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는 환경적 속성을 광고하는 업체가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며 그 또한 지속 가능성이 더 많이 강조되었으면 한다.
시카고에서 최고급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크 슈파이어는 “사람들은 재활용 제품에 자연스럽게 끌린다”며, “또 어린이들과 관련된 요소도 있다. 자녀와 손녀 손자들이 환경을 생각하며 이들은 부모들이 친환경 TV를 구입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는 CES에서 선보인 서로 다른 평면TV들의 전력 사용을 비교해보고 놀랐다. 슈파이어는 ”대개의 회사들이 차세대 제품으로 전력효율을 강화한 모델을 만드는 것 같다”라며, 이들 신제품이 너무 많이 비싸지 않다면 사람들이 이런 제품을 더욱 선호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환경과학을 공부했던 CES 참석자 마크 샤퍼는 현재 라스베이거스 네바다 대학교의 설비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로써 그는 이런 관심에 고무되기는 하지만, “친환경”이 올해만의 마케팅 수법이 아니길 바란다고 말한다. 샤퍼는 “이제 지속 가능성이 전시회에서 더 이상 특별한 이슈가 아니길, 제품이나 서비스 홍보 수단의 일환이 아니길 바란다”며, “그건 다음 단계의 일이라”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그는 소비자 가전업체의 노력에 고무되었으며 그의 환경 교육이 신흥 시장의 소중한 배경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소감도 전했다. editor@id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