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는 화주가 원하는 형태의 물류센터를 찾고 상세 정보 및 견적을 비교·확인하기 위해서 물류센터의 실사가 필수였으나, 카카오 i 라스는 여러 물류센터를 PC 및 모바일로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비대면 서비스를 대폭 확대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스마트 견적 딜’ 기능을 통해 화주는 원하는 조건을 입력하면 현재 60개 이상의 물류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견적을 받아 한눈에 비교·확인해볼 수 있다. 또한 화주와 물류센터는 예상 견적에 대해 상세 단가 별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비대면 서비스 확대의 일환으로 VR 창고 투어 또한 강화했다. VR 창고 투어는 화주가 직접 물류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온라인에서 물류센터 내 상하차 공간, 보관 구역, 작업 설비, 부대시설 등을 360도로 둘러볼 수 있는 기능이다. 물류센터는 카카오 i 라스를 통해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과 공정을 온라인 상에서 적극적으로 노출해 공실율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물류센터를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그동안 축적해 온 AI 기술력을 기반으로 보다 편리하게 카카오 i 라스을 사용할 수 있도록 AI 창고탐색 기능을 선보였다. AI를 기반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연결하고 분석해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자사의 고도화된 지식그래프 기술을 카카오 i 라스에 적용해 물류센터 검색 시 가장 연관도가 높은 창고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카카오 i 라스 홈페이지에서 ‘경기도 새벽배송 냉동창고’를 검색하면 경기도에 위치한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냉동창고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를 비교해 최적의 창고를 찾을 수 있다.
카카오 i 라스을 통해 원하는 물류센터를 찾아보고 비교하는 데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했던 화주와 임대 공간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물류센터의 물류 전반에 걸친 정보 습득이 보다 쉽고 간편해졌다. 화주는 ‘관심창고 비교하기’ 기능을 통해 냉동·냉장·상온 등의 상품 유형, 새벽배송·당일배송 등의 배송 서비스 유형, 면적, 보유설비, 보관 및 작업 서비스, 부대시설 등의 물류센터 정보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 물류센터는 손쉽게 창고를 등록하고 VR 창고 투어, 전용 안내 페이지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대시보드를 통해 창고별 등록 현황, 방문수, 매칭 현황 등의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관리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김원태 LaaS부문장은 “카카오 i 라스 매칭 2.0을 통해 AI 물류 기술을 기반으로 화주 및 물류센터 기업 고객을 위한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선보였다”며 “향후 카카오 i 라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물류 네트워크를 확장해나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 i 라스의 매칭 2.0을 통해 새롭게 선보이는 기능과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상품판매자를 위한 신규 가입 이벤트를 진행한다. 자체적으로 물류를 운영하고 있으나 물류 대행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판매자나 물류 관리 시스템을 직접 활용하려는 판매자를 대상으로 내달 10일까지 진행한다.
editor@itworl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