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 주행 자동차 분야를 주시하던 많은 사람이 생각하지 못했던 일일 수 있다. 자율 주행 자동차는 여전히 정부의 규제가 기술을 따라잡기를 기다리는 패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술은 완성된 것 같지만, 아직도 무인 차량을 어떻게 규제하고 보험을 적용할지 파악해야 한다.
그렇다면, 농장에 가보자. 농장은 무인 장비를 필요로 하고, 수많은 장비가 가동되고 있다. 앞으로도 사람들이 계속 채소를 먹는 한, 가능성은 크다. 농사 로봇이 농작물 생산 프로세스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을 수도 있다.
농장이 이런 무인 장비를 도입하는 데 전혀 방해되지 않는 요소는 다른 수직 시장에 적용되는 규제이다. 무인 트랙터나 콤바인, 파종기 등은 공공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사유지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갑자기 기계가 미쳐서 사람을 죽일 위험성은 극히 낮다. 필자는 어릴 적 킬도우저(Killdozer)란 영화를 보고 놀란 적이 있지만, 이런 농기계에는 두려움을 느끼지 않을 정도이다.
농장의 이 모든 변화는 컴퓨팅과 관련되어 있다. 필자가 아는 한 대부분 무인 농기계는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의 엣지 디바이스이다.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이 운영과 분석, 인지 기반 시스템의 사용을 통제한다. 다시 말해, 클라우드 내에 있는 ‘빅브레인’이 전체 운영을 주도하며, 장비의 동작에 직접 관련된 처리 기능과 데이터만 장비에 저장된다.
자동차 역시 비슷한 모델을 사용할 것이다. 즉 차량 내에서 일어나는 데이터 처리와 퍼블릭 클라우드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처리 기능을 연결해 함께 사용할 것이다. 물론 아직은 균형점을 찾는 과정에 있다. 하지만 5G와 좀 더 믿을 만한 대역폭이 등장하면서 대부분의 데이터와 처리 기능을 퍼블릭 클라우드에 두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제 농경지를 보면서 첨단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곳이라고 생각하지 말기 바란다. 혁신은 바로 이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앞으로 무인 차량에 대해서는 실리콘 밸리보다는 농장에서 배워야 할 것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 editor@itworl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