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디바이스 / 애플리케이션 / 오피스ㆍ협업 / 클라우드 오피스 / 태블릿

[인포그래픽] 멀고도 가까운 BYOD · 컨슈머라이제이션

편집부 | ITWorld 2013.03.18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직원 500명 이하 기업의 허용 비율이 500명 이상 기업보다 더 높았다. 개인 기기 사용을 허용한다는 답변을 보면 500인 이하 기업이 69.6%인 반면 500인 이상 기업은 42.6%에 그쳤다. 사용을 금지한다는 비율은 500인 이하가 11.8%, 500인 이상이 24.7%로 두 배 이상 높았다.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업무용 장비에 대한 규정이 엄격한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응답자들은 컨슈머라이제이션을 도입하려는 이유로 34.8%가 '모빌리티를 강화하는 것이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휴대기기가 늘어나서'(25.6%), '개인 기기 사용에 따른 보안 문제에 대응하려고'(22.8%), '직원들의 개인 기기 사용 요구가 높아서'(16.8%) 순이었다.
 
<그림> 기업 규모별 직장내 개인 기기 사용 허용 비율

 
모든 컨슈머라이제이션 이슈는 '보안'으로 통한다 
컨슈머라이제이션 도입과 관련된 작업에서는 보안에 대한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응답자들은 컨슈머라이제이션 도입시 가장 먼저 고려할 것을 묻는 질문에 36.2%가 '보안솔루션'이라고 답했다. 
 
이어 '가상화 솔루션'(20.5%), '신규 디바이스'(13.3%), '네트워크 증설'(10.1%), 상기 모두(20.0%) 순이었다. 컨슈머라이제이션 성공의 핵심 요소를 묻는 질문에도 '보안 및 관련 솔루션'이 29.4%로 가장 많았고 '운영정책'(20.2%), '자사 IT 운영 리소스 및 예산'(17.0%), '디바이스 및 인프라'(15.9%), '풍부한 애플리케이션'(12.9%), '공급·구축 벤더의 역량'(4.6%) 순이었다. 또한 도입시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역시 '정보보안'이 33.7%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구축 및 운영비용'(25.3%), '내부 운영 규칙 미확립'(18.9%), '업무 효율'(12.2%), '인력 확보 어려움'(10.0%) 순이었다.
 
컨슈머라이제이션을 도입했을 때 가장 성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분야는 단연 IT서비스(21.0%)였다. 이어 병원(13.8%), 금융 및 보험(13.8%), 유통(13.6%), 교육(12.6%)이 근소한 차이로 상위권을 형성했고 통신 및 방송(8.7%), 공공(7.0%), 제조(6.9%) 순이었다. 
 
앞으로 국내 컨슈머라이제이션 확산 추세 전망에 대해서도 물었다. 응답자들의 66.2%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다'고 답했다. 4.9%는 '대부분 기업이 도입하지 않을 것이다'고 답했고 4.0%는 '도입에 반대한다'고 답해 부정적인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반면 '급속히 확산될 것'이라는 답변은 24.9%에 그쳤다.
 
이런 경향은 기업의 컨슈머라이제이션 프로젝트 착수 시기를 묻는 질문에서도 드러났다. 3개월내 프로젝트가 예정돼 있다는 답변은 3.4%에 그쳤고 6개월내 4.8%, 1년 내 14.9%로 매우 저조했다. 76.8%는 '정해진 것이 없다'고 답했다. 
 
업계의 컨슈머라이제이션 컨설팅 역량 부족해
많은 기업이 직장내 개인기기 사용을 허용하고 있지만 정작 이를 지원하는 프로젝트가 매우 저조한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그 단초는 컨슈머라이제이션에 대한 업체의 준비 정도를 묻는 질문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응답자의 절반 가량인 48.9%는 '제품만 있을 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컨설팅 역량이 떨어진다'고 답했다. 26.6%는 '전혀 준비가 안돼 있다'고 답했고 17.7%는 '솔루션은 있지만 홍보, 마케팅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준비 상태도 좋고 시장 변화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6.8%에 불과했다. 실제 기업들이 도입할 수 있을만큼의 메시지가 미흡하고 특히 개별 기업상황에 맞는 제안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림> BYOD 이해도에 따른 업체 및 솔루션 평가

 
특히 컨설팅 역량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컨슈머라이제이션에 대해 관심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더 높았다. 앞서 컨슈머라이제이션에 대해 잘 알고 있느냐는 응답을 잘 아는 쪽과 모르는 쪽으로 구분해 업체의 준비 정도에 대한 응답을 재분류해 보니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전혀 준비가 안돼 있다'는 응답이 평균 대비 8% 가량 낮은 18.8%인 반면 컨설팅 역량이 떨어진다는 응답이 평균보다 7% 가량 높은 56.4%였다.
 
멀고도 가까운 컨슈머라이제이션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미 상당수 기업들이 개인 기기의 직장내 사용을 사실상 허용하고 있다. 컨슈머라이제이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도입했는냐 여부와 상관없이 많은 기업과 직원들이 이미 컨슈머라이제이션 문화를 경험하고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의 개인기기 허용 수준은 해외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해 봐도 비슷한 수준이거나 혹은 앞서는 상황이다.
 
반면 컨슈머라이제이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500인 이하 기업의 경우 거의 10곳 중 9곳이 허용하고 있지만 내부에 정책과 조직이 있다는 응답이 5.7%에 불과했다. 어떤 의미에서는 회사측이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특히 관련 솔루션 업계가 이런 기업들에게 대해 매력적인 제안을 던져주지 못하고 있어 관련 프로젝트 계획은 물론 컨슈머라이제이션 확산 전망에 대해서도 유보적인 견해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2013년 우리나라에서 컨슈머라이제션과 BYOD는 멀고도 가까운 모순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editor@idg.co.kr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