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 프라이버시

"강력한 비밀번호를 원한다면"…비밀번호 규칙 제대로 알기 4가지

Fahmida Y. Rashid  | CSO 2017.10.12
비밀번호 보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거론하는 이유는 비밀번호가 사람들이 제대로 얘기하지 않고 공론화하지 않는 분야이지만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비밀번호는 악의적인 무언가에 대해 전자 메일이나 소셜 미디어, 온라인 뱅킹, 게임, 교육 애플리케이션 또는 온라인 서비스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더 나은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공격자는 은행 계좌를 약탈하고 온라인 서비스 계정을 탈취할 것이다.

사용자들은 모두 비밀번호의 기본 사항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다. ▲비밀번호에 "비밀번호(Password)"를 사용하지 말고 ▲같은 비밀번호를 다른 계정에 반복해서는 안된다. ▲가능하다면 온라인 계정에서는 이중 인증을 사용하라. ▲SMS 메시지를 통한 일회용 비밀번호가 아무 것도 하지않는 것보다 낫다. ▲비밀번호 관리자를 사용해 모든 비밀번호를 추적하라.

많은 비밀번호 조언이 합리적으로 들리지만, 이를 실천하기에는 도움이 필요하다. 다음은 비밀번호에 대해 알아야 할 4가지다.

비밀번호 알기 1. 비밀번호에는 대소문자, 숫자와 특수 문자가 필요하다
- 진실 : 복잡한 보안 비밀번호가 얼마나 많은 보안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letmein'은 좋지않은 비밀번호이지만 대소문자와 숫자가 혼합되어 있는 'Password1', 'Abc123', 'Passw0rd' 등이 더 나은 비밀번호는 아니다.

사전에 있는 단어를 기반으로 비밀번호를 만드는 것은 나쁜 생각이다. 숫자나 기호를 문자로 대체하는 것 또한 영리하거나 독특한 생각이 아니다. 비밀번호 크래커는 자체 색인 표에 "vuln3rabl3" 또는 "trustno1"과 같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후자의 비밀번호는 2014년 스플래시데이터(SplashData)가 밝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비밀번호 가운데 상위 25위를 차지한 바 있다.

사실, 대소문자와 숫자, 특수 문자를 혼합해 사용하면 소문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밀번호가 훨씬 강력해진다. 정확한 수치는 처리 능력에 따라 다르지만, 최신 컴퓨터로 소문자인 8자의 비밀번호를 해독하는 데에는 26^8 또는 2,088억 2,706만 4,576개의 가능한 조합이 있기 때문에 이틀 정도 걸리지만 큰 봇넷의 경우, 단 1.8초만에 해독한다. 특수 기호를 넣거나 숫자 조합을 한 혼합된 비밀번호는 해독 시간을 두 배 이상으로 늦추는 역할을 한다.

모든 대소문자, 숫자, 그리고 특수 문자는 문자열이 실제로 무작위가 아니면 효과가 낮다. 2015년과 2016년 스플래시데이터의 상위 25개 목록에는 '1qaz2wsx'와 '1q2w3e4r'이 등장했다. 사용자는 비밀번호 규칙을 따르려고 시도했지만, 순차적 키 변형이나 일반적인 패턴을 사용한다면 원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비밀번호 크래커는 순차 키 패턴을 알고 있으며, 잠재적인 패턴을 찾기 위해 키보드를 볼 수 있다.

비밀번호 알기 2. 좋은 비밀번호는 굉장히 길어야 한다
- 진실 : 비밀번호는 확실히 길수록 더 좋긴 하지만, 8~12자 정도면 충분하다. 짧은 비밀번호는 긴 것보다 해독하거나 무차별 대입 공격에 훨씬 더 취약하기 때문에 긴 것이 좋다는 것은 잘못된 내용이 아니다.

6개 문자 길이의 비밀번호는 8~12개 문자의 비밀번호보다 푸는 시간이 짧다. 최신 컴퓨터의 경우, 대소 문자와 숫자를 혼합해 사용하는 8자리 비밀번호를 푸는 데에는 5.88년이 걸리지만 강력한 봇넷으로 31분이 소요된다. 10자의 비밀번호의 경우, 동일한 봇넷으로 83일이 걸린다. 특히 10자 비밀번호가 '%ZBGbv"8g?'과 같이 문자, 숫자, 특수 기호를 함께 사용한다면 일반 컴퓨터는 28만 9,217년, 봇넷에서는 3년이 걸릴 수 있다.

사실, 아주 긴 비밀번호에서는 기호나 숫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40자 길이의 대소문자가 혼용된 비밀번호를 푸는 데에는 수천 년이 걸린다. 분명히 긴 비밀번호는 지향해야 할 방법이며 비밀번호가 무엇이든지 매우 긴 것이 중요하다(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전에 어떤 암호화 기술이 사용되는 지는 중요하지만 이번 주제와는 상관없다).

하지만 속단하지 마라. 우선 위협 모델에 대해 생각해보자.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가장 큰 우려 사항은 누군가가 데이버베이스에 침입해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훔치는 경우, 매우 길고 복잡한 비밀번호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 기업들은 비밀번호 재사용이나 피싱(Phishing)에 대해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다. 이런 경우 비밀번호의 길이는 중요하지 않다. 공격자가 이미 피싱을 통해 실제 비밀번호를 훔쳐냈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8자인지, 20자인지, 50자인지는 상관없다. 복사해 붙여넣으면 공격자는 침입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20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 비밀번호 관리자가 없다면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재사용한다. 그것은 당연한 것이다.

보호받는 것이 무엇인 지도 중요하다.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되는 지역 공공 도서관일 경우, 8자의 비밀번호로도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전체 재정 이력이 담겨있는 것에는 좀더 긴 비밀번호가 필요하다. 이렇듯 보안은 상충적이다. 자신에게 가장 가치있는 계정은 가장 강력한 수준의 보호를 해야한다. 비밀번호를 재사용해서는 안되며 피싱 사기를 주의해야 한다. 많은 계정에서 8자리 비밀번호로 충분할 수 있다. 이는 NIST의 최신 지침이 8자리 비밀번호로 된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부작용이 있다. 비밀번호가 너무 길어 사용자가 '비밀번호 찾기' 링크를 사용하고 지식 기반 답변을 사용해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것이 더 쉬울 수가 있다. 자신이 자란 도시나 애완동물 이름이 비밀번호를 추측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찾을 수 있다.

비밀번호 알기 3. 절대로 비밀번호를 적어두지 마라
- 진실 : 자신이 'Password1'과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면서 이 비밀번호를 어디엔가 적어둔다면 절대로 안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렇다고 적어둔다는 것이 항상 나쁜 생각은 아니다.

스티키 노트에 써놓지 말고 자신의 책상에 '피델리티(Fidelity)를 위한 나의 새로운 401K 비밀번호'라는 메모를 남겨두고 보관하면 된다. 이렇게 새롭고 긴 복잡한 비밀번호를 쓴다면 잊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비밀번호를 체화하기 전까지는 자신의 지갑에 넣어두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안티바이러스업체인 소포스(Sophos) 보안 전문가 체트 위스니에스키는 "중요한 것을 적어 안전 금고에 보관한다면 이는 예측치 못한 사고가 나더라도 가족이 삶을 열 수 있다"고 말했다.

비밀번호 알기 4.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요구는 보안을 향상시킨다
- 진실 : 주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을 요구할 경우, 사용자는 약한 비밀번호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최근까지 일상적인 비밀번호 변경 요구는 기업 보안 정책의 주요 요소였다. 일부 조직에서는 사용자가 이전 비밀번호로 즉시 전환할 수 없도록 비밀번호 사용기간을 최소로 지정하고 비밀번호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비밀번호 기록과 변경해야 할 최소 문자수를 지정해 새로운 비밀번호가 이전과 완전히 달라야 한다는 것을 강제했다.

하지만 필수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비밀번호가 유출됐거나 노출될 수 있다는 큰 우려가 있는 경우, 조직에 비밀번호가 유출됐다는 증거가 있을 때에만 강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임의의 일수가 지났기 때문에 비밀번호 변경을 강제하는 것은 좋지 않다.

새로운 NIST 권장 사항은 비밀번호 보안을 덜 복잡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교한 규칙으로 인해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규칙을 구현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관리, 지원 비용을 높이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비밀번호를 정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이는 사용자들이 최신 비밀번호를 기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비밀번호를 재사용하거나 추측하기 쉬운 패턴으로 비밀번호를 만들게 된다. Password1, Password12, Password123 등을 돌아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이런 이유 때문이다. editor@itworld.co.kr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