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 웹서비스

글로벌 칼럼 | 가짜뉴스에 대한 과잉 대응을 우려한다

Mike Elgan | Computerworld 2019.01.29
가짜뉴스는 극단적인 정치와 사회적 분열, 폭동, 범죄 등과 관련돼 있다. 누구의 책임일까? 일단 겉으로 드러난 것만 보면 나이 든 사람이다.
 
ⓒ Getty Images Bank

한 연구 결과를 보면, 65세 이상의 페이스북 사용자가 그 이하 연령대의 사용자보다 가짜뉴스를 더 쉽게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 중 하나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노인은 인터넷을 사용하며 성장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수록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중국 위챗(WeChat)의 연구 결과도 비슷하다. 농촌 지역에 사는 사람이 도시 거주자보다 가짜뉴스를 더 쉽게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것은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더 중요한 진실은 가짜뉴스가 점점 더 큰 돈벌이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이버 범죄가 그런 것처럼 가짜뉴스 제작자는 이를 막으려는 공공의 노력보다 더 빠르게 자신의 방식을 발전시키고 있다. 결국 허위정보로부터 세계를 구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실리콘 밸리와 IT 업계에 맡겨질 수밖에 없다.

가짜뉴스의 진원지
이 문제를 제대로 보려면 가짜뉴스의 정의에서 다시 출발해야 한다. 가짜뉴스는 일종의 '동의할 수 없는 의견'이 아니다. 악의적인 보도, 잘못된 저널리즘, 분열적 연설과도 다르다. 대신 가짜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신들이 가짜 정보를 내보내고 있음을 알지만, 그런데도 기사를 쓰고 방송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정치적 거짓정보와 허위정보의 전형적인 사례가 러시아 정부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의 가짜뉴스 관련 활동을 했다는 많은 보도가 나왔다. 최근에는 가짜뉴스를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다른 많은 나라에도 퍼뜨리려 노력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러시아가 가짜뉴스를 퍼뜨리고 있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가짜뉴스도 있었다고 한다.

러시아 정부는 가짜뉴스와 허위정보의 최대 지원 세력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러시아 의회는 최근 가짜뉴스를 규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가짜뉴스는 물론 정부 지도자와 국가의 상징을 모욕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 벌금 혹은 징역형을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 핵심이다.

러시아 정부의 지원을 받은 거짓정보는 주로 정치적 목적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가짜뉴스 대부분은 경제적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다. 이것이 신흥 산업이라는 것은 독일과 벨기에 연구자의 보고서로도 확인할 수 있다. 노스 마케도니아의 가짜뉴스 제작자들은 중년 정도의 나이대로, 가족이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에서 가짜뉴스는 새롭게 부상하는 가족기업 형태인 것이다. 가짜뉴스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마련이다. 그리고 이는 곧 광고수익을 의미한다. 세계 모든 곳에서 가짜뉴스 산업이 성장하는 이유다.


가짜뉴스 문제 해법을 찾아

전 세계의 가짜뉴스 대부분은 페이스북 SNS와 인스타그램, 왓츠앱, 페이스북 메신저 등 이른바 페이스북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인터넷 사용자 대다수가 여기에 모여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가 15억 명에 달하는 왓츠앱은 심각한 가짜뉴스 문제를 안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 왓츠앱을 통해 어린이 납치 관련 가짜뉴스가 퍼지면서 대중의 집단 폭행이 벌어지기도 했다.

페이스북이 왓츠앱에서 가짜뉴스를 퇴출하기 힘든 이유 중 하나는 엔드투엔드 암호화 서비스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공유하는 콘텐츠에 대해 업체가 전혀 관여할 수가 없다. 그래서 왓츠앱이 최근 새로 내놓은 정책이 바로 포워딩 제한이다. 사용자가 한 메시지를 5번만 포워드할 수 있다. 잘못된 정보의 확산 속도를 늦추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이밖에 페이스북은 러시아 정부가 소유한 스푸트니크(Sputnik) 뉴스, 허위정보 네트워크와 관련된 계정과 페이지, 그룹, 인스타그램 계정을 삭제했다. 합법적인 뉴스로 독자를 대거 모은 후 스푸트니크로부터 러시아의 허위정보를 보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은 이들 그룹과 페이지가 룰을 어기지 않아도 자사의 커뮤니티 표준을 침해한 사람과 '관련된' 그룹을 차단하고 페이지를 삭제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뉴욕타임스는 페이스북이 페이스북 메신저와 인스타그램, 왓츠앱을 통합한다고 보도했다. 다른 플랫폼 간에도 사용자간에 암호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이런 변화는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강화한다. 그러나 동시에 가짜뉴스 배포자에게도 허위정보를 비밀리에 배포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주게 된다. 또한, 수십억 명이 엔드투엔드 암호화돼 연결되므로, 우리는 급속히 퍼지는 가짜뉴스를 찾아 대응하는 작업을 온전히 페이스북의 처분에만 바래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다른 소셜 미디어와 메시징 플랫폼도 가짜뉴스 대응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트위터는 쓰레드를 처음 시작한 트윗에 라벨을 붙이는 아이콘을 테스트하고 있다. 이른바 '오리지널 트위터(Original Tweeter)' 아이콘이다. 진짜 트위터를 흉내내는 가짜 계정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텐센트가 운영하는 중국의 위챗은 10억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 이 업체는 774개 서드파티 기업과 파트너십를 체결했다. 가짜뉴스를 판별하는 4000건 이상의 기사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위챗은 가장 널리 퍼진 '잘못된 소문' 톱10 리스트를 발표했고, 가짜뉴스 기사에 별도 표시를 한다. 이들 콘텐츠를 차단하고, 서비스로의 링크도 막는다.

위챗이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이 본격화하고 있지만 비판자와 경쟁사는 다른 비판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정치적인 그리고 다른 금지된 발언을 감시하도록 돕는 것은 물론, 다른 소셜 서비스로의 링크를 방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위챗은 캐나다 내 중국계 캐나다인 사이에서 가짜뉴스 확산 통로로도 지목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의 엣지 브라우저에 신기능을 추가했다. 서드파티 거짓정보 차단 툴 '뉴스가드(NewsGuard)'를 통합한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민주주의 보호(Defending Democracy) 프로그램의 결과물인 이 확장 기능은 뉴스 소스의 품질을 5개 색깔로 표시한다. 녹색은 뉴스 소스가 정확도와 책임성에 있어서 기본적인 표준을 지킨다는 의미다. 반면 붉은색은 가짜이거나 신뢰할 수 없는 뉴스 공급자를 의미한다. 배지를 클릭하면 뉴스 소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뉴스가드는 정확성과 투명성, 뉴스조달 정책 등을 기준으로 뉴스 사이트를 평가하며, 저널리스트인 스티븐 브릴과 전 월스트리트저널 발행인 고든 크로비츠가 이끌고 있다. 뉴스가드는 기본 기능으로 활성화되지 않으므로 각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해당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뉴스가드 브라우저 확장기능은 크롬과 파이어폭스, 사파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도 평가 결과를 보여주고, 구글과 빙, 다른 사이트의 검색 결과에서도 볼 수 있다.
 

이제 시작일 뿐

이러한 다양한 인터넷 작동 방식의 변화는 이미 사용할 수 있거나 곧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런 조치가 가짜뉴스 감소에 도움이 되기는 하겠지만 점점 심각해지는 가짜뉴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한다. 필자가 온라인의 이런 노력이 점점 급진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예를 들면, 뉴스가드 혹은 이와 비슷한 서비스는 현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할 수 있지만 앞으로는 선택사항이 아닐 것이다. 점점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 혹은 필수 기능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브라우저가 뉴스 소스를 질을 평가하고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배제된다. 페이스북의 포워딩 횟수 제한도 마찬가지다. 이런 메시징 플랫폼 업체가 말하는 해법은 사용자 활동의 한계를 정하고 확산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이런 모든 조치에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사용자와 기업의 통제권을 빼앗고 대신 페이스북과 트위터, 위챗 같은 업체가 더 많은 권한과 결정권을 갖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소수의 업체가 우리가 읽어야 할 것과 잃지 말아야 할 것을 결정하게 된다. 이것이 과한 전망이라고 비판한다면, 최소한 우리가 읽어야 할 것이 어떤 것인지 판단하는 핵심 결정 요소를 이들 업체가 결정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게다가 이들 업체는 어떤 기업을 차단할 것인지도 결정할 수 있다. 자신이 만든 룰을 어기지 않아도 관련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조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고민할 필요가 있다. 가짜뉴스를 줄이는 것이 정말 세상을 이렇게 바꿀 만큼 가치 있는 일일까? ciokr@idg.co.kr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