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보안 정책을 새로운 시각으로 검토해야 하는 이유 5가지

Stacy Collett | CSO 2017.07.28
APT(지능형 지속 위협), 새로운 비즈니스 기술, 젊은 인적 자원이 보안 예산의 초점을 침입 방지에서 탐지 및 대응으로 이동시켰다. 또 많은 기업과 기관이 자사의 보안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새로운 시각으로 검토, 조사하도록 유도했다.

가트너에 따르면, 2018년에는 공급망에 속한 조직의 50%가 '공급망 내 다른 조직의 보안 정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기준으로 관계 지속에 따른 위험을 평가하게 될 전망이다.

자사의 정책은 파트너의 정책과 일치하는가? 처음부터 직접 만든 정책, 보안 관련 조직이나 개발업체가 제공하는 탬플릿에 기반을 둔 정책 등 이미 보안 정책을 수립해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이 아주 많다. 그러나 '이들 정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는 전혀 다른 문제다.

에반스 데이터 코프(Evans Data Corp)가 세계 각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1,5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31%의 기업은 공식적인 보안 정책을 갖고 있으며, 34%는 기업 내 다양한 부서들이 비공식적으로 보안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보안 정책 수립에 적용되는 황금률이 지금도 적용된다.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 당사자가 프로세스를 공유하는 것,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 비즈니스 성장을 가로막는 경직된 정책을 피하는 것, 테스트를 통해 프로세스를 실용적으로 만드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가트너 보안 및 프라이버시 부문 조사 담당 부사장 제이 하이저는 새로 수립한 정책이라도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정책보다 한 단계 아래인 가이드를 여러 LoB에 맞게, 또는 여러 규제나 지리적인 기준에 맞게 관할권 별로 업데이트 해야 할 수도 있다. 보안 및 위험 관리 전문가들은 보안 정책을 새로운 시각으로 검토해야 하는 이유 5가지를 강조한다.

1. 랜섬웨어, DDoS, APT
2016년 1월~9월 동안 기업을 표적으로 하는 랜섬웨어 공격이 3배나 증가했다. 카스퍼스키 랩(Kaspersky Lab)에 따르면, 전세계 기업의 20%가 영향을 받았다. 또 베리사인(Verisign)에 따르면, 2017년 1분기 DDoS 공격의 평균 규모는 규모는 전 분기 대비 26%가 증가했다.

과거의 보안 정책들은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 이에 데이터 분류와 관련된 정책,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공유할 때 지켜야 할 방식을 규정한 정책 등을 수립했다. ISACA 사이버보안 자문 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는 다크매터(DarkMatter LLC) 사이버 서비스 부문 EVP인 에디 슈와츠는 "지금은 랜섬웨어와 APT 때문에 사용자 행동과 '악당'들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노스캐롤라이나 샬롯 소재 딜로이트(Deloitte)의 사이버 위험 서비스 부문 책임자인 줄리 버나드는 "이런 위협을 지탱할 수 있는 튼튼한 보안 정책을 수립해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그러나 개별 위협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규정한 기준과 개별 절차는 위협 환경 변화에 맞춰 더 자주 업데이트 해야 한다"고 말했다.

2. 클라우드와 IoT 블록체인, 기타 새로운 기술들
제조업 분야의 사물인터넷(IoT), 금융 서비스 분야의 블록체인 등 차세대 도구들이 보안 정책의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버나드는 "정책은 계속 변하는 환경에 보조를 맞춰야 한다.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기업의 기술 담당자는 업타임과 보안을 걱정한다. 그러나 여기에 수반되는 정책은 어떨까? 클라우드 앱을 통해 핵심 개발업체 가운데 하나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까? 가능하다면 어떤 정보를 공유해야 할까? 이를 원활하게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결국 기준에 대한 질문들이다. 공유 금지에 대한 정책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공유를 차단할 기술적 역량이 없다면, 사람들이 이를 공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3. 사용자 행동의 변화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이 증가하면서 기술에 대한 기대 사항, 업무 행위에 변화가 초래되고 있다. 이는 보안 정책과 기준에 영향을 미친다.

슈와츠는 "'직장에서 페이스북에 접속, 고양이 비디오를 볼 경우 악성코드 감염에 조심하라!' 또는 '그런 행동을 하지 말라!'고 경고해야 한다는 의미다. 사용자에게 정보 보호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대신, 직장에서 실제 하는 행동에 부합하는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기업 네트워크에 스마트 장치를 연결해 사용하는 행동, 회사가 지급한 노트북 컴퓨터에서 소셜 미디어를 서핑하는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일부 조직의 보안 기준과 절차에는 예방적인 대책과 대응적인 대책이 동등하게 반영되어 있다. 여기에는 침해가 발생한 후 취해야 할 행동에 대한 지침도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4. 보안 피로와 느슨한 집행
직원들이 온갖 규칙을 따르는 것을 지겨워 할 수도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보안 정책에 '금지 사항'이 지나치게 많이 증가하면, 보안 피로가 시작되고, 이것이 정책 효과를 훼손한다.

하이저는 "보안 정책이 '뒷전으로 쫓겨나기' 시작한다"며, "퍼블릭 및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알 수 있듯, 사용이 만연할 경우 정책 집행에 느슨해지는 때가 많다. 많은 조직이 SaaS 사용에 대해 보안 정책을 집행하지 않는다. 아주 자유롭게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는 정책을 무용지물로 만든다"고 지적했다.

5. 시대에 뒤떨어진 일부 보안 정책 요소
하이저는 "정책적 요소들이 실제 변화를 유발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책 요소를 검토해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하지 않는 기업들이 많다. 결국은 변화를 유발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이저는 모든 보안 정책을 스프레드시트에 정리, 각각에 1~5점의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하이저는 "정책을 준수했는가? 아니면 준수하지 않았는가? 준수했다면, 실제 위험을 경감할까? 이 두 가지 가운데 하나의 점수가 '0'이라면, 성과도(감사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것을 제외하면) '0'일 것이다. 규칙의 수가 적을 수록, 사람들이 이를 더 많이 철저히 준수한다. 따라서 무언가를 추가하면, 다른 무언가를 빼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 업데이트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보안 정책을 매년 한 차례 검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기준과 절차는 분기 단위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슈와츠는 "규모가 큰 기업이나 조직은 최소한 분기 1회 검토해야 한다. 또 필요에 따라 검토해야 한다. 위협 지형이 바뀌었거나, 새로운 시스템이나 클라우드를 도입했거나, 새로운 모바일 환경을 수용했을 때 부족한 부문을 발견하면 정책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모든 새로운 위협을 기존 보안 정책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다뤄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경영진이 참여한 가운데 보안팀, 법무팀, 감사팀, 컴플라이언스(규제 준수)팀이 대화, 적합한 행동 대책과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보안 정책, 기준, 절차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 했다면, 직원들이 이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제임스 베어드가 2015년 10월 ACS(American Cancer Society)의 IT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담당 부사장으로 합류해 가장 먼저 한 일은 직원들이 조직의 보안 정책을 쉽게 찾고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PDF 1,800페이지를 쉐어포인트의 HTML 페이지로 대체했다. 현재에는 주제를 기준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또 특정 정책과 관련된 정책, 또는 요건, 가이드가 연결된 하이퍼링크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와이파이 사용 방법을 검색하면, 사용할 수 있는 표준과 액세스 포인트, 브랜드를 알려주는 링크와 정책이 표시된다. 베어드는 "필요한 만큼 적게 또는 많게 정책 관련 정보를 조사해 찾을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고 설명했다.

하이저에 따르면, 조직마다 보안 정책과 용인할 수 있는 위험의 균형점이 크게 다르다. 거버넌스의 출발점은 아주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책이 지향해야 할 가장 적합한 수준을 알려주는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안 정책을 갖고 있다면, 이런 정책이 효과가 있는지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 editor@itworld.co.kr
 
 Tags 보안정책
Sponsored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