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토픽브리핑 | 대해킹 시대,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는 이유

이대영 기자 | ITWorld 2016.05.13
제로데이 공격에서부터 스피어피싱, 랜섬웨어, APT에 이르기까지 사이버범죄자들의 공격 방법은 나날이 진화하고 증가하는 반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보잘 것 없는 방패 하나뿐이다.

보안 전문가들은 "사이버 공격을 100% 막을 수 있다는 장담은 누구도 하지 못한다. 100% 방어가 가능하다는 이는 전문가가 아니거나, 거짓말을 하거나 둘 중 하나다"고 말한다. 그래서 수년 전부터 보안 벤더들은 방어, 탐지 위주의 보안 전략에서 벗어나 다계층 보안 전략 등을 제시하지만 공격자는 이미 한수위의 전략을 펼치고 있다.

대해킹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시만텍의 인터넷 보안 위협 보고서 21호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발견된 제로데이 취약점은 2014년 24개 대비 125% 늘어난 54개로 두 배 이상 크게 증가하며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 또한 악성코드도 놀라운 속도로 증가해 2015년 한 해에만 4억 3,000만 개의 신규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매일 약 118만 개의 악성코드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크립토로커 랜섬웨어는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36만 건이 발견됐으며, 국내에서 발견된 랜섬웨어 공격은 약 4,440건에 달했다.

"사이버 공격의 이원화 가속"...시만텍 ‘2015년 인터넷 보안 위협 보고서’

이처럼 사이버 공격이 진화하고 증가하는 첫번째 이유는 바로 '돈'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 호기심을 이유로 하는 해킹은 거의 사라졌으며, 핵티비즘 또한 그 효력을 잃어가고 있다. 대신 전문적인 사이버범죄 집단이 전세계를 무대로 '돈'과 '개인 정보'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카스퍼스키랩은 해커 툴의 개발 비용과 이를 통한 수익을 비교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사이버범죄가 공격 비용 대비 무려 20배 이상에 달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피싱 페이지 제작과 가짜 사이트로의 연결을 유도하는 대량 스팸 메일 발송에는 평균 150달러의 비용이 소요된다. 만일 100명의 피해자들을 확보한다면, 공격자는 피해자들의 민감한 데이터를 판매함으로써 1만 달러를 벌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사이버범죄 수익 모델이었던 개인정보 탈취, 판매보다는 피해자들에게 바로 돈을 받을 수 있는 랜섬웨어 공격이 대폭 증가하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모바일 랜섬웨어인 블로커(blocker)는 매우 비싸서 악성코드를 구입하고 배포하는데 평균 1,000달러의 공격 비용이 든다. 반면 수익률도 훨씬 높다. 사안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략 100명의 피해자들로부터 적어도 2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다.

미국 FBI는 2016년 1분기 동안 실제 지불된 랜섬웨어 피해 금액이 2억 9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금액이 계속 증가할 것이며, 문제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 사이버범죄 집단이 전문화되어 하나의 기업처럼 움직이면서 기업과 개인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공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베스트 프랙티스를 채택하고 한층 전문적인 비즈니스로 만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공격, 공격 비용 대비 수익 무려 20배"...카스퍼스키랩 발표
언제나 당신을 노리고 있는 랜섬웨어...인터롭 컨퍼런스
전세계적 사이버 공격의 확산 원인, 기술보다 공격자의 동기와 의도

하지만 최근 조사에 따르면, 사이버공격자들이 실제 공격에 성공했을 때 얻는 수익이 건당 1만 5,000달러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네몬 인스티튜트(Ponemon Institute)가 미국과 영국, 독일의 해커들을 상대로 조사를 벌인 결과, 이 해커들이 평균 연 수입은 2만 9,000달러 정도로, 선진국일수록 사이버 공격으로 돈을 많이 벌지 못했다. 이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버는 수익에 4분의 1 정도다.

설문조사로 본 해커들의 실상 "사이버 공격 성공 수당 겨우 1만 5,000달러"

사이버 공격 확산의 두번째 이유는 사이버범죄자들의 검거율이 낮고 처벌받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데 있다. 각국의 경찰들은 보이지 않는 사이버범죄자들을 체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사이버범죄 조직의 경우 이들은 흔적을 감추는 데 능숙해 이들을 추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사이버범죄자들은 대부분 사법공조가 이뤄지지 않는 국가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체포 가능성도 거의 없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기업들, 랜섬웨어 요구에 굴복하고 있다

치안정책연구소가 발간한 2016년 치안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까지 국내 사이버범죄 검거율은 71.1%였다. 하지만 해킹, DDoS, 악성코드 등 사이버 해킹 범죄에 해당하는 정보통신망 침해 범죄의 경우 검거율은 28.5%에 지나지 않는다. 사이버범죄자 3명 가운데 2명은 잡히지 않는다는 의미다. 일반적인 폭력범죄와 강력범죄 검거율이 각각 83%, 94%인 것에 비하면 무척 낮은 수치로, 사이버범죄 검거율이 총범죄 검거율을 낮추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2009년부터 주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DDoS 공격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며, 각종 언론사 홈페이지 해킹, NH농협 해킹 사건, 320 전산망 마비 사태, 한수원 원전자료 유출 사건에 이르기까지 사이버 테러 범죄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났지만, 대부분 사건에서 범인 배후에 북한이 있다고 결론내렸지만 범인을 특정하는 것은 실패했다.

IDG 블로그 | 한수원 기밀 유출 사건과 관련한 요약 정리와 정부가 해야할 일 세 가지
글로벌 칼럼 | 한수원 해킹 사고 중간수사 결과를 바라보면서
3.20 방송 금융 전산망 사고를 바라보는 외국의 시각
시즌 3에 접어드는 한수원 기밀 유출 사건, 용의자는 아직도 활동중

최근 미국이나 영국 등 많은 국가에서 DDoS 공격자나 개인정보 유출자, 악성코드 유포자 등을 국제적인 사법공조를 통해 체포, 처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미 FBI, 어노니머스 해커 12명 체포
톡톡의 개인정보 유출 관련해 4번째 용의자 체포
JP모건 해킹 용의자, 5명 체포
영국 10대, 스팸하우스 DDoS 공격 혐의로 체포
스파이아이 봇넷 킷 개발자들, 총 24년 6개월 형을 받다

우리나라 또한 사이버범죄에 강력 대처하고 있다. 특히 경찰은 2016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6개월간 '해킹, DDoS, 악성코드 범죄 특별 단속'에 들어갔다.

경찰청, 지방청 사이버테러 수사팀 90여 명을 중심으로 주요 기관·업체·단체에 대한 사이버 공격 첩보를 적극적으로 발굴·수사해, 사이버 테러의 사전 탐지·차단 활동을 추진하고, 사이버 테러에 선행되는 단순 계정도용, 시스템 침입 사건에 대해서도 경찰서 사이버 수사팀과 함께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최근 폭증하는 랜섬웨어 범죄에 대해 2016년 신설된 지방청 사이버테러 수사팀,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경기남부, 경남 등 7개청 10개팀 54명이 전담 수사해 국제공조수사 등을 통해 피의자 검거에 나섰다.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초래하는 '스파이앱'에 대한 적극적인 인지 수사를 하고 DDoS 공격, 정보 유출 등에 악용되는 봇넷(Botnet) 차단과 함께 좀비PC 소유자에게 감염 사실을 통보, 치료를 안내하는 한편, 해킹·디도스 공격 청부 행위나 악성코드 제작 및 의뢰 행위 등에 대해서도 실행위자와 동일하게 엄정 처벌할 예정이다. editor@itworld.co.kr
Sponsored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