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안철수연구소, 지능적 타깃 공격 APT 대책 발표

편집부 | ITWorld 2011.08.19
안철수연구소(www.ahnlab.com)는 최근 가장 위협적인 보안 이슈인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타깃 지속 공격)의 현황과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APT는 ▲다양한 IT 기술과 방식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경제적이거나 사회적인 목적을 위해 ▲다양한 보안 위협을 이용해 ▲특정 대상을 겨냥해 ▲지속적으로 공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APT 공격의 대표적 사례로는 스턱스넷(Stuxnet)과 오퍼레이션 오로라(Operation Aurora), 나이트 드래곤(Night Dragon), EMC/RSA 공격이 꼽힌다. 국내의 경우 올 초 발생한 3.4 DDoS 공격 이후 특정 대상을 노리는 공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APT 공격자는 기초 정보 수집, 악성코드 침투, 기밀 정보 유출의 과정을 거친다. 즉, SNS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격 대상 조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조직 임직원에게 악성코드 이메일을 보내는 등 지속적인 타깃 공격을 한다. 이후 공격 목표인 조직 내부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악용해 정보를 은밀하게 빼낸다. 이 같은 APT 공격에 대응하려면 여러 방면에서 전방위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

기초 정보 수집에 대응하려면 ▲정책적으로 조직 내부 정보나 구성원의 신원 정보를 통제하고 ▲각종 보안 위협 징후에 대한 내외부 모니터링 및 로그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또한 악성코드 침투에 대응하려면 ▲구성원이 P2P, 웹하드, SW 자동 업데이트 사이트 접속 시 악성코드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보안 교육을 하고 ▲PC에 설치된 보안 소프트웨어를 주기적으로 관리 및 감독해야 한다.

기업 내부에서 검토 및 인증한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화이트리스트(White List)를 작성한다. 이후 화이트리스트 이외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실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또한 확인/인가되지 않은 계정이 중요 시스템에 접근하지 않도록 권한을 최소화/차단한다.

아울러 중요 시스템이 있는 네트워크 대역과 일반 임직원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대역을 분리해 접근을 원천 차단해야한다. 아울러 기밀 정보 유출에 대응하려면 ▲PC에 설치된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패치 및 관리를 주기적으로 하고 ▲접근 통제로 정보 유출을 차단하고 ▲데이터 암호화로 기밀 정보가 유출되어도 악용되지 않게 한다.

이와 함께 재발 방지 차원에서는 어떤 경로로 기업 내부 네트워크로 침입했고 어떤 시스템과 데이터에 접근을 시도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초 네트워크 내부의 비정상 패킷을 검출하고, 비정상 접근이나 데이터 전송이 발생한 시스템을 파악한 후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 프로세스에 따라 자세한 분석을 한다. editor@itworld.co.kr
Sponsored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