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경영자가 알아야 할 사이버 범죄 지식 7선

Jon Murphy | CIO 2011.01.17
적들은 점점 똑똑해 지고 있다. 그들이 세상을 뒤흔들고 특히 미국 같은 선진국들의 경제를 무너뜨리려는 자신들의 사상을 퍼트리려고 하는 테러리스트들이건, 아니면 불만 있는 내부 직원이건, 또는 금전적 동기가 대부분인 “평범한” 범죄자들이건, 사이버 범죄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 피해도 커져만 가고 있다. 정보 기술 보안 그룹들 사이에서는 2010년 7월 포네몬 인스티튜트(Ponemon Institute)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을 뽑아서 조사했던, 사이버 범죄 벤치마크 비용 보고서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포네몬은 개인 정보, 데이터 보호, 정보 보안 정책에 대해 개별적인 리서치를 수행했다.
 
이 연구소의 조사 결과는 특히 IT 분야와 관련시켜 전사적 위기관리(ERM, Enterprise Risk Management)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회사들은 여전히 “그런 일”, 즉 위기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라 믿으며 안일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23페이지에 달하는 포네몬의 리포트는 웹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7가지 중요한 사실들과, 이런 정보가 어떻게 회사 사정에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보겠다.
 
사이버 범죄 사후대처는 미리 방어 환경을 갖추는 것보다 훨씬 비용이 많이 든다.
이번 조사에서는 회사들의 평균 사후대처 비용이 380만 달러에 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같은 사고를 예방하거나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었던 기술적 비용은 대체로 원래 비용의 1/3 이하였다. 당연하게도 미리 계획하여 방비를 하는 것이, 사건 발생 후 조치를 취하는 것보다 대부분의 경우 적은 비용이 발생한다.
 
더 중요한 점은 최고소프트웨어책임자(CSO, Chief Software Officer), 혹은 최고위기관리책임자(CRO, Chief Risk Officer)와 같은 ERM을 담당할 경영 간부 한 사람 임명하는 것이 방어에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사건 발생 후 뒤늦게 아무에게나 일을 맡기는 것보다,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업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고를 이사회에 직접 올릴 수 있는 경영 간부는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초기에 위기관리를 확실히 세워둘 수 있다. 이처럼 IT 보안과 위기관리를 다른 부서의 누군가에 전담시키는 것이 큰 문제를 해결하는 간단한 대처 방법이다.
 
또한 ERM 전략을 세워 실시하고, 자발적인 점검 및 검증 프레임워크인 ITIL / NIST 등을 갖추는 것은 사이버 범죄가 일어날 확률을 낮추는 동시에 사고 대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사이버 범죄는 점점 공격적이며 더 널리 퍼지고 있다.
의심스러운가? 많은 기업들이 적어도 비공식적으로는 “우리 보안은 이미 충분하다”, “우리는 경쟁사 보다 우수하다”, “그런 사항들은 우리에게 필요 없다”는 등 무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런 태도는 여러 사례에서 완전히 잘못되었음이 드러났다!
 
귀사는 어떠한가? 물론 어떤 통제나 표준이든 시키는 대로만 따르는 것이 보안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두자. 인포섹(InfoSec), BC/DR,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거버넌스(Governance)와 같은 IT 위기관리는 ERM처럼 지속적인 프로그램이다. 그저 한번 실시하고서 잊어버리는 프로젝트가 아니다. 그러면 새로운 사업 가능성과 동시에 범죄의 길도 열어준, 동전의 양면 모두를 가지고 있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생각해보자. 몇몇 애널리스트들은 회사 대역폭의 30%가 소셜 네트워킹으로 발생하는 트래픽이라고 추정했다.
 
이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트위터나 링크드인 같은 소셜 네트워크가 사업의 범위를 넓히는 기능을 한다고 주장한다. 몇몇 IT 업체 서비스는 현재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통해 지원되고 있다. 게다가 홍보 및 마케팅 팀은 소셜 네트워킹이 프로모션을 위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찾고 있다. 유튜브는 이제 회사 홍보를 위한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일지도 모르나, 소셜 미디어는 또한 바이러스나 맬웨어의 통로가 되기도 하고, 생산성 약화를 가져오며, 직원들이 적절한 관리 없이 사내 정보나 민감한 사항들을 퍼트릴 수 있게 한다. 더군다나 경쟁사들과 빚 수금업자들은 이를 회사 직원들을 감시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가장 피해가 큰 것은 웹 공격이나 악의적인 내부 직원에 의해 발생
귀사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호스트로 사용하고 있는가?  귀사가 접속하는 클라우드 시스템은 어떠한가? 이런 사이트들이 침투 테스트(penetration test)을 거치거나 OWASP를 통해 확인 되었는가? 일반적으로 매 분기마다 OWASP 검사와 2년에 한번은 침투 테스트를 해야 한다는 것이 실무자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사실이다. 관리 체계 변경에 대해서는 얼마나 안정적인가? 또, “Quis custodiet ipsos custodes?”라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것은 라틴어로 “감시인은 누가 감시할 것인가?”라는 뜻이다. 특정 권한을 가진 내부 회계 감사가 담당할 것인가? 이런 잠재적인 위험을 방지하려면 회사의 위기관리 전략에 알맞게 SIEM, DLP, HIPS와 같은 기술들이 실시되어야 한다.
 
빠른 초기 대응이 비용을 줄이는 전략이다.
이 벤치마크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은 빠르게 회복되지 않을 경우 갈수록 큰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리포트에서는 공격 피해를 복구하는 데에 평균적으로 14일이 걸리며 그 비용은 하루에 1만 7,696 달러에 이르렀다! 이런 손실이 회사 수익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번 조사에서는 악의적인 내부 범행자에 의한 공격의 경우 복구에 42일 이상이 소요된다는 것이 드러났다. 비용적인 면만 따져보더라도 오늘날의 복잡한 공격에 대한 조기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조사에서 나타나진 않았지만, 신문 1면을 이런 사건으로 장식하는 등의 회사 이미지 손실에 따른 어마어마한 손해도 고려해야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매사추세츠, EU 등에서 강화된 PII 법안을 어겼다는 것이 드러난다면, 금전적인 문제를 떠나서라도 회사 브랜드는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
 
정보 도난은 가장 큰 외부비용을 발생시킨다.
2위는 업무마비
이 보고서에서는 연간 정보 도난으로 인한 유출 사고가 전체 외부비용의 42%를 차지했다. 영업 혼란으로 인한 업무 마비나 생산성 감소로 인한 외부비용은 22% 정도였다. 또한 회사의 규모가 커질수록 그 위험성은 더 늘어났다. 이런 비용과는 관계없이, 언론의 부정적인 보도와 고객 및 주주의 신뢰를 잃는 “2차 재난”, 즉 이미지 손실이 뒤따른다. 이것은 사실상 미리 잘 갖춰진 위기관리 프로그램이 방지할 수 있는 일이다.
 
내부의 적을 감시하고 대처하는 것은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다. 이는 다시 말해서 이런 쪽의 투자가 비용 문제로 인해 무시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만약 예산 내역의 구실거리를 제외하고 실제로 지원 받는 자금이 별로 없거나, 경영자들이 위기관리에 투자할 시간이 없다면, 귀사가 가질 수 있는 것은 실속 없는 립서비스(lip service) 프로그램뿐이다. 어떤 회사들은 ERM이나 인포섹을 위한 예산을 세우기도 하지만 결코 실행되는 법은 없다. 또 다른 회사들은 새로운 기술 찾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기간이 1주나 1달이 아니라 1년이 넘어가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찾는 중이다! 보험 회사들은 이들이 심지어 일부러 사기를 주장하거나 부주의로 인한 과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점점 알아채고 있다.
 
모든 산업분야는 사이버 범죄 위험이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1년을 기준으로 볼 때 산업분야 따라 사이버 범죄에 따른 비용이 다르다는 것이 나타났다. 국방, 에너지, 금융 관련 회사들은 작은 서비스 교육 회사들에 비해 큰 비용이 들었다. 하지만 분명히 모든 산업분야에서 사이버 범죄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5년 이상 증가해온 회사들의 재난 포고는 불가항력인 결과가 아니다. 오히려 피할 수 있었던 사태를 수동적이든 아니든 그저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보험회사들은 이미 눈치를 챘다. 그들은 비용 청구에 앞서 당연히 주의를 기울였어야 하는 사항들을 간과한 증거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부에서조차 이를 알고 있다.
 
현재 미국 연방정부에서 IT와 관련해 개인정보 위기관리에 대해 가중치를 높일 것이라는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는 IT가 상호 연결된 현대 경제 구조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고 받아들여 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위기관리 시행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인식한 비정부기구들의 자발적인 지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들은 규모와 수입을 막론하고 모든 사업자들에게 적용될 “마땅히 대비를 해야 하는” 최소한의 규정이 PCI-DSS같은 엄격한 보안 시스템 이상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 번 예산을 결정할 시기가 온다면, IT 부서에서 추가적인 자금 지원을 얻거나 적어도 기업 전체의 보안 점검을 강화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은 비용으로도 개개인에게 어떻게 점검을 수행하는지 혹은 검증 받는지 교육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통보 수준에 불과하다. 내부의 많은 직원들은 목적성 없이 귀찮아 하는 무리에 속한다.
 
이상적으로 한 회사는 조직 내의 모든 결과를 모아 분석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정기적인 내부 점검을 수행해야 한다. 그 다음 단계는 검증된 외부 업체들이 꾸준히 비슷한 수준으로 점검을 하게 해야 한다. 외부 업체는 또한 위기관리와 IT 보안 투자 우선 순위에 대한 독자적인 전문 지식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귀사는 현재 상황이 어떠한지, 어떻게 투자를 해야만 회사가 무분별하게 위기를 자초하여 기사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거나 국가적 위험성을 높이는 일을 하지 않을 수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Jon Murphy는 국가 기술, 보안, 위기관리 전문가이자 강연가, 저술가이다.
editor@itworld.co.kr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