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분석 / 데이터ㆍ분석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구성요소와 기반 기술의 이해

InfoWorld staff | InfoWorld 2017.09.12

인간은 매일 먹고 일하고 놀고 데이터를 생산한다. IBM에 따르면 인류가 하루에 생산하는 데이터의 양은 무려 250경 바이트에 이른다. DVD를 쌓는다면 달까지 왕복할 만큼의 데이터다. 이 데이터에는 우리가 전송하는 텍스트와 업로드하는 사진부터 산업용 센서 측정 데이터와 머신 간 통신 등 온갖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유로 “빅데이터”라는 말이 도처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사람들이 빅데이터라고 말할 때는 이 데이터의 많은 부분을 가져다가 이를 분석하고 유용한 무언가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빅데이터란 정확히 무엇인가?
그러나 빅데이터의 의미는 그보다 훨씬 더 넓어서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괄한다.

- 많은 경우 여러 소스에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
- 단순히 양만 많은 것이 아니라 그 종류도 다양하다. 많은 경우 동시에 여러 종류의 데이터, 시간이 경과하면서 바뀌는 데이터를 수집한다(처음부터 구체적인 형식으로 변형시키거나 일관적으로 만들 필요는 없는 데이터).
- 동일한 데이터 풀을 다양한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이 데이터를 분석한다.
- 이 모든 작업을 신속하게, 때에 따라서는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초창기에는 이러한 네 가지 측면 중 세 가지를 나타내는 VVV라는 약어를 사용했다. 각 V는 볼륨(Volume, 방대한 양), 다양성(Variety,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와 시간 경과에 따라 데이터가 바뀐다는 사실), 그리고 속도(Velocity)를 나타낸다.

빅데이터 vs. 데이터 웨어하우스
VVV라는 약어에서 빠진 부분은 분석을 위해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변경될 필요는 없다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 비파괴적 분석은 곧 조직에서 동일한 데이터 풀을 다양한 용도로 분석하고, 서로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소스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특정 목적을 위해 특정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만들어졌으며 데이터는 구조를 갖고 오로지 그 목적에 맞는 특정 형식으로 변환됐다. 추출, 변형, 로드(ETL)로 불린 이 과정에서 원본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파괴된다. 데이터 웨어하우징의 ETL 접근 방법에서의 분석은 특정 분석을 위한 특정 데이터로 제한됐다. 모든 데이터가 트랜잭션 시스템에 존재했던 당시에는 이러한 특성이 아무 문제도 없었지만, 지금과 같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도처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세계에서는 그렇지 않다.

다만 빅데이터로 인해 데이터 웨어하우스가 쓸모 없어지는 것은 전혀 아니다. 빅데이터 시스템은 비구조적 데이터를 거의 처음 수집한 상태 그대로 다룰 수 있게 해주지만 이를 통해 얻는 쿼리 결과의 정밀함은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데이터를 깊게 파고들기 위한 용도로 고안됐다. 심층 분석을 위한 큐브 구축과 같은 작업이 가능하도록 모든 데이터를 일관적인 형식으로 변환하므로 그러한 작업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웨어하우징 업체들은 오랜 시간 동안 비즈니스 환경에서 일반적인 쿼리에 답하기 위해 쿼리 엔진을 최적화했다.

빅데이터는 더 많은 소스의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해주지만 분해능은 더 낮다. 따라서 전통적인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새로운 스타일의 빅데이터는 당분간 공존하게 될 것이다.

빅데이터를 이끈 기술 혁신
빅데이터에 필요한 네 가지 측면(볼륨, 다양성, 비파괴적 사용, 속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 혁신이 필요했다. 분산 파일 시스템(하둡), 이질적 데이터의 의미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방법(처음에는 구글의 맵리듀스, 최근에는 아파치 스파크), 그리고 필요에 따른 데이터 접근과 이동을 위한 클라우드/인터넷 인프라 개발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대략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 외에는 한 번에 조작이 불가능했다. (당연히 당시에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용량만 해도 엄청나다고 생각했다. 이후 인터넷이 모든 곳에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연결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데이터 저장소의 위치, 컴퓨팅 파워, 여러 소스의 이질적 데이터 형식을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의 제한 때문이었다.

그러다가 2003년을 전후해서 구글의 연구원들이 맵리듀스를 개발했다. 이 프로그래밍 기법은 먼저 데이터를 일련의 키/값 쌍에 매핑한 다음 비슷한 키를 대상으로 계산을 수행, 이를 하나의 값으로 줄이고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저비용 시스템에서 각 데이터 덩어리를 병렬로 처리하는 방법으로 대량 데이터 집합 처리 작업을 간소화한다. 이 대규모 병렬 처리 덕분에 구글은 갈수록 커지는 데이터 볼륨에서 더욱 신속하게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회사명 : 한국IDG | 제호: ITWorld |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3, 4층 우)04512
| 등록번호 : 서울 아00743 등록발행일자 : 2009년 01월 19일

발행인 : 박형미 | 편집인 : 박재곤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정규
| 사업자 등록번호 : 214-87-22467 Tel : 02-558-6950

Copyright © 2024 International Data Group. All rights reserved.